귀질환과 난청

클릭 소리’가 들리는 이유: 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(Tensor Tympani Syndrome, TTS)

global-find 2025. 2. 22. 12:05

1. 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(Tensor Tympani Syndrome, TTS)이란? – 귀에서 들리는 클릭 소리의 정체

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(Tensor Tympani Syndrome, TTS)은 중이(내이와 고막 사이)의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하면서 비정상적인 소리를 유발하는 질환이다.

  • 중이에는 소리를 증폭하고 고막과 내이를 보호하는 두 개의 근육이 있다.
    • 이근(Tensor Tympani Muscle): 고막의 진동을 조절하여 내이를 보호하는 역할
    • 등골근(Stapedius Muscle): 강한 소음이 내이에 전달되지 않도록 소리를 조절하는 역할
  • 정상적인 경우, 이 근육들은 강한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 반사적으로 수축하여 청각을 보호하지만,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작은 소리에도 반응하여 클릭(clicking), 딸깍(ticking), 윙윙(buzzing) 같은 소리가 지속적으로 들릴 수 있다.
  • 이러한 상태를 **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(TTS)**이라고 하며, 난청, 귀막힘, 통증, 청각 과민(Hyperacusis)과 같은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.

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은 비교적 희귀한 질환이지만, 현대 사회에서 스트레스, 소음 노출 증가, 장시간 이어폰 사용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다.

 

2. 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과 비정상적인 귀 소리 – 클릭, 딸깍, 윙윙 소리가 들리는 이유

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은 귀에서 특정한 리듬이나 간헐적인 소리가 들리는 증상을 경험한다.

① 클릭 소리(Clicking Sound)

  • 이근(Tensor Tympani Muscle)이 불규칙적으로 수축할 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증상이다.
  • 짧고 반복적인 딸깍, 클릭 소리가 들리며, 씹거나 말할 때 더 심해질 수 있다.

② 딸깍 또는 떨리는 소리(Twitching or Ticking Sound)

  • 이근이 과도하게 긴장하면, 근육이 반복적으로 떨리면서 기계적인 딸깍 소리가 들릴 수 있다.
  • 이 소리는 맥박이나 호흡과는 무관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, 특정한 머리 움직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.

③ 윙윙 또는 저주파 소리(Buzzing or Low-Frequency Humming)

  •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하고 있을 경우, 저주파수의 지속적인 윙윙 소리가 들릴 수 있다.
  • 이 소리는 주변 환경과 무관하게 내부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며, 스트레스가 심할 때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.

이러한 증상들은 모두 귀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현상으로, 일반적인 이명(Tinnitus)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.

 

3. 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의 원인과 위험 요인 – 신경과 근육의 불균형이 초래하는 문제

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귀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신경계의 불균형이다.

① 심리적 스트레스와 불안

  • 신체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, 교감신경계(Sympathetic Nervous System)가 활성화되면서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할 수 있다.
  • 특히, 얼굴과 턱 주변 근육이 경직되면서 중이 근육도 영향을 받아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.

② 청각 과민증(Hyperacusis)과 소음 노출

  • 장기간 소음에 노출된 사람들은 이근이 과민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.
  • 특정한 고주파 소음(예: 기계음, 전자음)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이근이 반복적으로 수축하면서 비정상적인 클릭 소리를 유발할 수 있다.

③ 턱관절 장애(TMJ,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)와의 연관성

  • 턱관절과 귀는 해부학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.
  • **턱관절 기능 장애(TMJ Dysfunction)**가 있는 경우, 씹을 때 중이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.

④ 신경근육 질환 및 자율신경계 문제

  • 일부 사람들은 **자율신경계 불균형(Autonomic Nervous System Dysregulation)**으로 인해 중이 근육이 정상적인 조절을 받지 못할 수 있다.
  • 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은 편두통, 섬유근육통(Fibromyalgia), 다발성 경화증(Multiple Sclerosis)과 같은 신경근육 질환과 연관이 있는 경우도 보고된다.

이러한 원인들을 고려할 때, 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의 치료는 단순한 청각 문제가 아니라 신경계 및 근육 균형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.

 

4. 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의 치료 및 관리 방법 – 증상 완화를 위한 접근법

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의 치료는 약물, 물리치료, 심리적 조절, 수술적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.

① 약물 치료 – 근육 이완 및 신경 안정화

  • 벤조디아제핀(Benzodiazepines, 예: 디아제팜): 근육 이완 및 신경 안정 효과
  • 항경련제(Anticonvulsants, 예: 가바펜틴): 신경 흥분을 조절하여 과도한 근육 반응을 완화
  • 근육 이완제(Muscle Relaxants, 예: 바클로펜): 근육 경직 감소

② 행동 및 심리 치료 – 신경 과민 반응 조절

  • 이완 요법(Relaxation Techniques): 명상, 호흡 조절, 요가 등
  • 인지행동치료(CBT): 소리에 대한 과민 반응을 줄이는 데 도움
  • 턱관절 및 목 스트레칭: 턱과 목 근육을 풀어주는 운동

③ 물리치료 및 교정 치료 – 턱관절 및 근육 균형 조절

  • 턱관절 문제(TMJ)가 있는 경우 치과 교정 치료를 병행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.
  • 마사지 및 근육 이완 운동을 통해 귀 주변 근육의 긴장을 줄이는 것도 효과적이다.

④ 수술적 치료 – 극단적인 경우 고려

  • 심한 경우, 이근 절제술(Tympanotomy with Tensor Tympani Sectioning)이 시행될 수 있지만, 대부분의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.

결론

근긴장성 중이근 증후군(Tensor Tympani Syndrome, TTS)은 귀에서 클릭, 딸깍, 윙윙 같은 비정상적인 소리를 유발하는 질환으로,

  • 스트레스, 턱관절 문제, 신경계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.
  • 치료를 위해서는 근육과 신경계의 균형을 회복하는 접근이 필요하며, 심리적 안정과 생활 습관 교정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.